인바디 수치, 이 숫자들 어떻게 읽어야 할까?

 

※ 이 글은 일반적인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이며,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하지 않습니다. 증상이 지속된다면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인바디수치 해석

인바디 검사는 내 몸의 구성 성분을 숫자로 알려주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다양한 항목 중 어떤 수치를 어떻게 봐야 할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요 수치를 하나하나 쉽게 풀어 설명하고, 생활 속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까지 안내합니다.

제지방량 (Lean Body Mass)

제지방량은 체중에서 지방을 제외한 근육, 뼈, 체수분 등을 포함하는 수치입니다. 기초대사량과 면역력에 큰 영향을 미치며, 요요현상 예방에도 중요합니다.

  • 정상 범위: 체중의 약 70~85%
  • 의미: 제지방이 많을수록 신진대사가 활발함
  • 관리 팁: 단백질 식사 + 근력운동 병행

체지방률 (Body Fat Percentage)

체지방률은 전체 체중 중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로, 외형뿐 아니라 대사 건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정상 범위: 남성 10~20%, 여성 18~28%
  • 과다 시: 대사질환·심혈관질환 위험 ↑
  • 과소 시: 여성의 경우 호르몬 불균형·무월경 위험

골격근량 (Skeletal Muscle Mass)

골격근은 움직일 수 있는 근육으로, 체형 유지와 기초대사량 유지에 필수입니다. 특히 중장년층은 주 2~3회 근력운동으로 감소 방지를 권장합니다.

  • 적절 비율: 체중의 30~40%
  • 역할: 혈당 조절, 지방 연소, 낙상 예방

기초대사량 (Basal Metabolic Rate, BMR)

BMR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입니다. 낮을수록 체중 감량이 어려울 수 있으며, 활동량 외에도 근육량과 나이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 정상 범위: 개인별 체격에 따라 다름 (일반적 성인 기준 1,300~1,700kcal)

내장지방 레벨 (Visceral Fat Level)

1~20단계로 나타내며 10 이상은 내장비만 위험을 나타냅니다. 체형이 마른 사람도 높게 나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기준: 1~9 정상, 10 이상 위험
  • 조절 방법: 유산소 운동 + 정제 탄수화물 줄이기

세포외수분비 (ECW/TBW)

전체 체수분 중 세포외 수분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0.40 이상은 부종이나 염증 가능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정상 범위: 0.36~0.39
  • 비정상 시: 만성질환 또는 순환계 문제 고려

기타 수치 간단 해석

항목 의미 및 활용
복부지방률 0.8 이상이면 복부비만. 심혈관질환 주의
체형 평가 표준형/근육형/비만형 등으로 대략적인 체형 분석
체중조절 가이드 감량할 지방량, 늘려야 할 근육량 등 목표 제시
부위별 근육량 팔/다리/몸통 비대칭 여부 확인
인바디 점수 100점 기준 전신 건강 상태 요약

인바디측정사진

자주 묻는 질문 (FAQ)

Q. 제지방량이 적정한데 체지방률이 높으면?
A. 근육은 유지되고 지방이 과다하다는 뜻이므로 지방 감량이 필요합니다.
Q. 인바디 점수 80점이면 괜찮은가요?
A. 평균 이상이며, 90점 이상이면 매우 양호한 편입니다. 성별과 나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Q. 세포외수분비 수치가 높으면 병원에 가야 하나요?
A. 일시적 부종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높을 경우 신장, 심장 관련 진료 권장

마무리

인바디 수치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내 몸의 건강 신호입니다. 수치를 이해하고 활용하면 건강 관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

출처: WHO Body Composition Guideline (2023), NIH Nutrition Factsheet, 한국영양학회(2024), InBody Corp 자료집(2023)
작성 기준일: 2025년 7월 기준 최신 정보